영원소식

영원의
다양한 새로운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 성기학 회장, 숙명여대에 발전기금 1억원 기부

    ▲ 성래은 사장, 성기학 회장, 숙명여대 장윤금 총장, 숙명여대 김영선 교수(좌로부터)영원무역 성기학 회장이 9월 28일 숙명여자대학교를 방문하고 발전기금 1억원을 기부했다.한국 패션산업의 인재 양성에 각별한 애정을 가지고 있는 성 회장은 “미래세대의 주역인 학생들이 글로벌 마인드와 역량을 갖춘 창의적 인재로 성장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라고 밝혔다.이 날, 숙명여대 장윤금 총장은 숙명여대의 발전에 특별한 관심과 애정을 갖고 산학협력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해온 성회장에게 감사패를 전달했다.영원무역과 영원아웃도어의 창업자인 성 회장은 1974년 창사 이래, 방글라데시, 베트남, 엘살바도르, 에티오피아 등지에 세계적인 생산시설을 갖춘 글로벌 기업을 성장시켜온 바 있다. 1997년 노스페이스를 국내에 론칭해 아웃도어 업계를 선도해 오고 있으며, 2018 평창동계올림픽 공식 파트너사로서의 후원활동을 통해 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와 국내 스포츠 아웃도어 산업 발전에 기여해 온 한편, 제 13, 14대 한국섬유산업연합회 회장 및 국제섬유생산자연맹 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한편, 영원무역은 숙대 의류학과와 함께, 평창동계올림픽 라이선스 상품 개발 프로젝트 및 친환경 업사이클링 졸업작품전 진행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14년째 산학협력 활동을 전개해 오고 있다.

    2021.10.06

  • 조세금융신문 기사 보도 (2017. 7. 10) 내용에 대한 해명

    영원무역의 관계사인 ㈜와이엠에스에이(이하 YMSA)는 현행 상증법상 일감몰아주기 과세 대상이 되는 특수관계법인 매출이 없습니다. 기사에서 적시됐듯이, YMSA는 매출의 98~99%가 해외현지관계법인앞 수출이며 관련법상 해외현지관계법인과의 매출거래는 일감몰아주기 과세 대상이 아닙니다.또한, YMSA는 현행 공정거래법상 일감몰아주기 규제 대상인 대규모 기업집단에 속하지 않습니다. YMSA는 특수관계인 매출 비중이 98~99%를 차지하나, 이는 영원무역의 수출거래선을 위하여 새로운 원부자재를 개발,소싱하여 영원무역의 해외현지법인 공장에 직접 수출하는 것입니다.  더욱이 YMSA의 해외현지법인 공장앞 매출의 영업이익률은 현지법인 공장의 영업이익률보다 현저히 낮은 1~2% 이내로서, YMSA는 어떠한 부당한 이익도 제공받고 있지 않습니다.이 기사는 YMSA의  해외 관계법인매출은 현행 일감몰아주기 규제대상이 아님을 잘 알면서도 독자들로 하여금 일감몰아주기로 부당한 이익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오해를 불러 일으킬 수 있어, 이에 대한 사실관계를 알려드립니다.창사 이래 준법경영을 실천해 온 당사 및 관계사 일동은 향후에도 정도경영을 통해, 고객, 주주, 협력사 및 임직원 등 사회구성원 모두로부터 신뢰 받고 사랑 받는 기업이 되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영원무역

    2021.08.13

  • Youngone Corporation donates Covid relief supplies to Telangana

    Youngone Corporation donates Covid relief supplies to TelanganaBy Telangana Today  |  Published: 5th Jul 2021  12:58 pmThe first batch of 5,000 doses landed in Hyderabad on July 1 while the remaining doses are expected by July 8.Hyderabad: Youngone Corporation, a Korea-headquartered global leading manufacturer of Textiles has come forward to donate 10,000 doses of Remdesivir and 100,000 KN95 masks to Telangana Government to support its fight against Covid-19.The company, known for Athletic apparel, Sportswear, Knitwear, Footwear & equipment etc operates in 13 countries and employs over 90,000 persons.The first batch of 5,000 doses landed in Hyderabad on July 1 while the remaining doses are expected by July 8.Kihak Sung, Chairman - Youngone Corporation said, “To stand behind the Government of Telangana in fighting against Covid-19 and to mitigate some of the sufferings of the people, Youngone hereby donates 10,000 vials of ‘Remdesivir Injections’ and 100,000 (One Hundred Thousand) pieces of KN95 face mask on an urgent basis”Youngone Management in Bangladesh will obtain necessary permissions from concerned departments of Bangladesh Government and organize procurement and shipment of the medicine to Telangana, he said.Thanking the company, Jayesh Ranjan, Principal Secretary Commerce & Industries, said, “We accept this donation with heartfelt gratitude. As the daily Covid numbers continue to decline at a rapid speed in Telangana, we seem to have clearly crossed the second wave peak. With generous support such as this, we now look forward to quickly putting the menace behind us and getting back to our business of facilitating investments in the state.”Youngone Corporation, through its wholly owned Indian subsidiary Evertop Textile and Apparel Complex Private Limited, will be investing USD 120 million in Kakatiya Mega Textile Park (KMTP), Warangal, Telangana.The company will be acquiring 290 acre land at KMTP for which it has already made full payment and is in the process of finalizing the contractor for commencement of the construction works.The company will be setting up eight manufacturing units in the areas of garment manufacturing, knitting, technical textiles and poly products. Once operational, these units will directly employ more than 12,000 persons, according to a press release.

    2021.07.08

  • Iconic and visionary leader Kihak Sung’s dream project ‘KEPZ’

    Iconic and visionary leader Kihak Sung’s dream project ‘KEPZ’Akhi Akter | Posted on June 29, 2021 2:02:53 pmSouth Korean firm Youngone Corporation started its journey in Bangladesh only with 250 workers back in 1980, now it has 70000 world-class workers. Currently, Youngone Group’s annual turnover is $2.3 billion, one-third of them comes from Bangladesh. Besides textiles, Youngone has other ventures as well. Korean Export Processing Zone (KEPZ) - the first and biggest private Export Processing Zone (EPZ) in Bangladesh, is growing fast with massive production activities contributing to socio-economic development.Youngone Corporation (owner of the KEPZ), is one of the country’s leading foreign private investors, was allocated 2492 acres of land for setting up the EPZ on the bank of the Karnaphuli under Paschim Patiya and Anowara Upazilas in Chittagong district back in 1999. However, the journey of investment began long ago. Figure 1: Youngone’s private Export Processing Zone (EPZ) ‘the Korean Export Processing Zone’ (KEPZ) in Bangladesh is the global standard of incorporating nature and state-of-the-art factories.Back in 1980, Kihak Sung, Chairman and Founder of Youngone Corporation set up a small factory with 250 female workers in Agrabad, Chattogram. It was the first foreign investor in the Bangladesh apparel industry, also one of the pioneers of women’s employment. Figure 2: Kihak Sung, Chairman and Founder of Youngone Corporation.Then in 1987, Youngone moved to Chattogram Export Processing Zone. During their first investment in Chittagong in the early 1980s, they imported raw fibers such as polyester for carding and processing, then filled them into nylon outerwear for export in volume to the Swedish markets.Figure 3: Ki Hak Sung has installed state-of-the-art machinery.In late ’80s, Youngone manufactured polyester padding for winter garments and supplying it to garment factories in Chattogram. That was one of the first manmade fiber (MMF) backward linkage industries in Bangladesh.By late 1990s, Youngone started supplying raw materials including nylon and polyester fabrics to apparel manufacturers as they had the complete structure of weaving, dyeing, and finishing factories in Bangladesh.Youngone set up the KEPZ under the Bangladesh Private EPZ Act 1996 and formed a company ‘Korean EPZ (KEPZ) Corporation (BD) Limited’ to promote, develop and manage the EPZ.Figure 4: KEPZ has so far completed 40 state-of-the-art green factories with a floor space of over 65,00,000 sft.After getting 2492 acres of barren land from the govt., Youngone has transformed the barren land into a world-class eco-friendly business park not only in the country but also in the region with the integration of economic activities, urbanization and environment-friendly measures.Figure 5: KEPZ is worker-oriented by providing a modern medical center, fully automated kitchen, canteen, child daycare center, indoor sports facilities and 3 dormitories accommodating 5400 female workers.They got Environment Clearance Certificate (ECC) from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 (DoE) in November 2009 and now the KEPZ area is an ideal blend between nature and world-class environment-friendly factories.Among the total 2492 acres of land, 52% of the land has been re-forested. 2.5 million trees over four hundred species were growing over 822 acres of land. 470 acres are kept for open areas. 25 artificial lakes, which hold up to 500 million gallons of monsoon water annually. Youngone also built 38KM of eco-friendly road network, 32KM   overhead power distribution line, 8KM gas distribution network, two Investors Guest Houses, etc.Figure 6: KEPZ invested a great deal in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the KEPZ - planting 400,000 more trees and created an additional reservoir with 200 million gallons of water.“In the past few years alone, KEPZ invested a great deal in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the KEPZ - planting 300,000 more trees and created an additional reservoir with 200 million gallons of water. KEPZ has so far completed 40 state of the art green factories with a floor space of over 65,00,000 sqft. Endeavors are also made to construct large factory buildings in the Textile zone having total floor space of about 2,000,000 sft, of which 60% have been completed and rest are in progress. These factories will mainly produce man-made fiber (MMF) products.”When fully completed, it would be one of the largest textile hubs in Bangladesh for the export and supply of high-quality fabrics to the local garment and apparel exporters as an import substitute and backward linkage.Korean EPZ started implementing a 40 MW rooftop solar power generation project. It is believed to be the largest single rooftop solar power project within the industry worldwide.Figure 7: KEPZ factories will mainly produce MMF-based garments.In the first stage, a 16MW solar photovoltaic (PV) power plant - which itself is the major ever rooftop solar PV system in Bangladesh to date - has been installed at the expense of $16 million and inaugurated 20 June.Work on a 4.3MW system that involves a cost of $4.3 million is expected to be complete by October this year, in the second phase.Figure 8: A 16MW solar photovoltaic (PV) power plant has been installed at the expense of $16 million.Additional 20MW system - to be set up as an Independent Power Plant (IPP) within a 12-month timeframe in phase-3 of the project - awaits approval from the government.Kihak Sung’s hard work and vision helped him build Youngone into an international giant in manufacturing investing over $1.2 billion.Most notably, Youngone has - in KEPZ - 25000 highly trained employees. KEPZ is worker-oriented by providing a modern medical center, fully automated kitchen, canteen, child daycare center, indoor sports facilities and 9 dormitories accommodating 5400 female workers, once completed (3 dorms are open).Figure 9: Information Technology zone of the Korean Export Processing Zone (KEPZ) in Chattogram has received the status of a private hi-tech park, which will be established on 100 acres of land“Our goal is to make ‘Made in Bangladesh’ the number one quality in the world. Yes, it is a tough job, as you need all the support, education system, R&D, know-how, etc.,” said Kihak Sung in a recent conversation with Textile Today.Figure 10: Textile Today team with Kihak Sung with his top management officers.KEPZ is not only bringing business to Bangladesh and contributing to the local employment, also setting a new and high standard of industrial development of Bangladesh. It is unique as it sets an example of how industrial zones could be formed and operated in an environmentally sustainable manner.Figure 11: KEPZ employee canteen and welfare center,Since its inception, Korean EPZ had a plan to establish an IT Zone on an area of 100 acres within the reserved zone.With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of Bangladesh, the plan has got its traction and KEPZ has started building two IT buildings, amongst other buildings, a 41-storied building is also planned to be built to commemorate the great occasion of Bangladesh reaching the level of a developed nation in the year 2041.In all, it will create working opportunities for up to 20,000 people when fully implemented.Figure 12: Kihak Sung’s goal is to make ‘Made in Bangladesh’ the number one quality in the world.Youngone Corporation is a publicly listed Korea-based company (market cap of US$ 1.9 billion). It is a leading global manufacturer of outdoor/athletic clothing, textile, footwear and gear, has business operations and manufacturing units in 14 different countries including Bangladesh, Vietnam, El Salvador and USA with a workforce of about 90,000.Youngone supplies high-end products to the markets of North America, Europe and Asia. Also, the Company distributes its products with the trademark “The North Face” within the Korean domestic market recognized as the top outdoor brand in Korea.

    2021.07.08

  • 영원무역홀딩스 성래은 대표이사, 코로나-19 극복 위한 ‘핸드 인 핸드’ 캠페인 동참

    [사진] ‘핸드 인 핸드’ 캠페인에 동참한 영원무역홀딩스 성래은 대표이사영원무역홀딩스 성래은 대표이사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회적 경제기업을 돕는다는 취지의 ‘핸드 인 핸드(Hand in Hand)’ 캠페인에 동참한다 이 캠페인은 지난 4월 사회적기업연구원에서 시작하여 수개월동안 이어져 온 릴레이 캠페인으로 사회적경제기업 제품을 구매하여 다음 주자에게 전달하면서 현재의 어려운 상황 극복을 위한 응원 문구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리는 형식으로 진행중인 캠페인이다. 캠페인 참여 방법이 간단하여, 지목을 받은 기관이나 주자가 같은 방식으로 캠페인을 진행하면 되는데 다만, 구매한 제품을 다음 주자에게 전달하지 않고, 제품이 필요한 취약계층 등에 기부하는 방법도 가능하다.성 대표이사는 “성신여자대학교 양보경 총장님의 제안으로 뜻 깊은 캠페인에 참여할 수 있게 되어 감사하고, 이번 캠페인을 통해 사회적경제기업의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건강한 소비로 이어져 어려운 시기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며 “사회적경제기업이 안정적으로 가치를 창출하고 다시 사회에 환원되는 선순환이 지속될 수 있도록 많은 분들의 동참을 기대한다”고 말했다.지금까지 다수의 기관 및 기업이 참여하여 왔고, 성신여대 양보경 총장의 지명을 통해 이번 캠페인에 동참하게 된 성 대표이사는 다음 주자로 ㈜컴투스 송병준 대표이사, GS건설㈜ 허윤홍 사장, 후성HDS㈜ 김나연 대표이사에게 사회적경제기업 상품몰에서 구매한 폴개협동조합의 제주감귤을 전달했다. 

    2020.10.30

  • 성기학 회장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희망 캠페인 동참

    영원무역 성기학 회장이 삼일방직 노희찬 회장의 추천을 받아 6월 17일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희망 캠페인'에 동참했다.해당 캠페인은 사회지도층을 중심으로 응원 메시지를 릴레이(지목받은 이가 메시지를 전달하고, 다음 릴레이 주자를 지목) 방식으로 진행된다. # 코로나19 극복을 응원합니다! # 대한민국을 응원합니다! # 지구촌 모두를 응원합니다! 함께라면, 우리는 극복할 수 있습니다!위와 같은 문구를 직접 작성하여 릴레이 캠페인에 동참하였다.

    2020.06.22

  • 서울서 韓 · 日 · 中 섬유 손 잡았다

    ▲중국방직공업연합회 가오용 서기 겸 비서장, 성기학 회장, 일본섬유산업연맹 캄바라 마사나오 회장 21일 그랜드하얏트…3국 섬유산업 협력회의 폐막무역갈등 해소…지속가능ㆍAI 등 협력 방안 논의한국섬유산업연합회(회장 성기학)는 지난 21일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일본섬유산업연맹 캄바라 마사나오 회장, 중국방직공업연합회 가오용 서기 겸 비서장 등 한ㆍ일ㆍ중 3국 섬유패션 단체 및 기업 대표 9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9차 한ㆍ일ㆍ중 섬유산업 협력회의’를 개최했다.금년 회의에서는 3국 섬유산업 현황, 섬유통상, 지속가능한 발전, 패션과 기술 등 4개 의제를 중심으로 발표와 토론 시간을 가졌다...[국제섬유신문 2019.11.25]

    2019.11.25

  • 성기학 회장, 장학기금 6천만원 또 쾌척

    16일 남산 둘레길 장학기금 조성 걷기대회 713명 참가경세호 회장 · 정우 · 영신 · 한솔 등 출연금 · 참가비 1억 2천만원한국섬유산업연합회(회장 성기학)가 지난 16일 남산 둘레길에서 가진 섬유패션 업계 장학기금 조성을 위한 ‘2019 섬유패션인 한마음 걷기대회’에서 영원무역(회장 성기학)의 매칭 출연금 6000만원과 섬유패션 업체의 출연금과 참가비 6000만원 등 총 1억2000만원이 조성된 것으로 나타났다...[국제섬유신문 김경환기자 2019.11.25]

    2019.11.25

  • "늘 성공하는 삶? 실패가 모여 성공 만든다"

    매경CEO특강 / 성기학 영원무역 회장 서울대 강연바느질만 10만땀 겨울 외투단 한땀이라도 풀리면 `끝`의류산업은 오차 허용 안돼한국 빠른 성장 가능했던건시장경제 선봉에 있었기 때문기업이 클수 있을때 크게 해줘야"겨울철 다운웨어는 최대 10만땀의 바느질이 들어간다. 한 땀이라도 실수가 생기면 전체적으로 올이 풀리기 때문에 불량품이 된다. 의류제조업은 불량률 제로에 도전하는 고도화된 산업이다." 성기학 영원무역 회장이 지난 8일 서울대 `매경CEO특강` 연사로 나섰다...[매일경제A32면 이윤재기자 2019.11.18]

    2019.11.18

  • 성기학 영원무역 회장 "다음 목표는 섬유·패션 특화도시 건설"

    ▲성기학(왼쪽) 영원무역 회장이 지난 14일 다카 생산공장을 방문한 이낙연(오른쪽) 국무총리, 사이푸지만 초두리 방글라데시 국토부 장관과 손을 맞잡고 있다.[방글라데시 현지 인터뷰 ]영원무역 물량 70% 현지공장서 생산세계2위 섬유수출 국가 도약 일조치타공 KEPZ토지 인허가 난항 여전이 총리 현지 방문 "확실히 큰 도움"교육 기반시설 갖춰지면 인재 모여패션 디자인 전문대학 설립 등 검토전 세계 인구밀도 1위 도시, 방글라데시의 수도 다카. 도시 어느 곳을 가든 ‘사람 반, 자동차 반’이다. 습한 더위 속에 밤낮없이 울려대는 자동차 경적은 사람의 혼을 쏙 빼놓기 일쑤다. 한밤중에도 꽉 막힌 도로를 간신히 뚫고 지난 14일 밤(현지시간) 성기학 영원무역 회장의 다카 자택을 직접 방문했다. 영원무역은 국내에서 ‘노스페이스’ 브랜드로 유명한 아웃도어 의류 기업, 세계적으로는 40여개 거래처로부터 주문받은 6,800여종의 옷을 만드는 주문자상표부착방식(OEM) 생산기업으로 유명하다...[서울경제2면 정영현기자 2019.07.17]

    2019.07.17

  • “통상환경 변화 대응” 한·대만 섬유산업 연례회의 개최

    한국과 대만의 섬 유산업이 지속가능 한 산업생태계 조 성에 협력한다.  한국섬유산업연합 회(회장 성기학·영 원무역 회장)는 대만섬유연맹(회장 짠쩡티엔·詹正 田))와 ‘한-대만 섬유산업연례회의’를 열었다고 26 일 밝혔다.  지난 25일 경남 창녕군 석리 성씨 고가에서 열린 연 례회의에는 양국 섬유패션업계 대표 67명이 참석했다....[헤럴드경제 조문술기자 2019.04.26]

    2019.04.26

  • 한-대만 섬유산업 연례회의

    -오는 25일, 창녕 석리 성씨 古家서 열려-성기학 섬산련 회장 등 양국 70여명 참석한국섬유산업연합회(회장 성기학) 주최로‘제16차 한-대만 섬유산업 연례회의가 오는 24~26일 창녕 석리 성씨 古家에서 열린다.25일에 열리는 연례회의는 한-대만 양국 섬유산업 협력과 업계 간의 우호 증진을 위해 해마다 열리고 있다. 이번 회의의 의제는 한-대만 섬유산업과 전만, 섬유패션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향후 과제로 정했다...[국제섬유신문 2019.04.15]

    2019.04.15

  • [매경이 만난 사람] `노스페이스` 성기학 영원무역 회장

    "하나 둘 하나 둘 힘차게 뛰어야지." 지난 10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에서 만난 성기학 영원무역 회장(영원아웃도어 대표)는 가을을 만끽하며 달리는 러너들을 응원했다. 젊은 러너들을 응원할 때면 자상한 어른의 모습이지만, 그들의 옷 가운데 영원무역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의류를 어김없이 가려내는 것을 보면 영락없이 날카로운 최고경영자(CEO)였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 국제섬유생산자연맹(ITMF) 회장이기도 한 성기학 회장은 이날 700여 명의 회원과 함께 섬유패션인 걷기 대회에 나섰다. 성 회장은 2시간여 동안 산책을 하면서도 전혀 지친 기색이 없었다...[매일경제A14면 이윤재기자 2018.11.20]

    2018.11.20

  • 韓ㆍ中ㆍ日 섬산련 손 잡았다

    -지난 5일 中 시안 힐튼호텔…100여 명 참석-美ㆍ中 통상이슈, 패션 디지털혁신 등 논의한국섬유산업연합회(회장 성기학)는 지난 5일 중국 시안 힐튼호텔에서 중국방직공업연합회 가오용 비서장, 일본섬유산업연맹 캄바라 마사나오 회장 등 한ㆍ중ㆍ일 3국 섬유패션 단체 및 기업 대표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8차 한ㆍ중ㆍ일 섬유산업 협력회의’를 성료했다.3국 섬유패션 업계는 장기화되고 있는 미ㆍ중 무역갈등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으며, 향후 국제 무역환경과 해외투자에 대한 정보와 경험을 공유하고 3국간 비즈니스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국제섬유신문 2018.11.12]

    2018.11.13

  • ‘ITMF’ 명실공히 대표적인 국제기구 도약시킬 터

    섬유 의류 분야의 글로벌 경영 1인자에 대한 세계 섬유 기업인들의 예우는 파격적이었다. 성기학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이 섬유 제조업의 간판 국제기구인 ITMF(국제섬유생산자연맹)에 등장한 지 불과 3년 만에 이 기구의 회장으로 화려하게 등극했다.2015년 샌프란시스코 총회 때 처음 특별 연사로 선을 보인 것을 계기로 ITMF는 성 회장을 차기 회장으로 내정해 버렸다. 성 회장이 경영하는 방글라데시 치타공과 다카 소재 세계 최대 의류 봉제공장과 직· 편직· 염색가공 등 버티칼 공장의 규모와 품질, 마케팅 능력에 감탄한 것이다.방글라데시뿐 아니라 베트남 하노이와 중국 칭따오, 엘살바도르 공장을 포함해 세계 경영의 질과 양에 세계 섬유 기업들의 시선이 집중된 결과다.이미 2년 전 인도 총회에서 차기 회장으로 내정된 수석 부회장을 맡은 데 이어 지난 7일부터 9일까지 검은 대륙 아프리카의 홍콩으로 불리는 케냐의 나이로비에서 열린 ‘2018 ITMF 총회’에서 만장일치 새 회장으로 정식 취임했다....[국제섬유신문 2018.09.17]

    2018.09.17